낙선재 일원은 창덕궁내의 생활문화의 결정체인 주거건축인 연조공간으로, 왕과 왕비의 정당이 아닌 소규모의 침전공간으로, 현존하는 궁궐내 다른 건물들에 비해 작고 소박한 모습이지만, 주 건물을 둘러싸는 행랑, 부속건물, 화계, 담장, 석물 등의 보존상태가 우수하여, 여타 궁궐의 연조공간에서는 찾을 수 없는 여러 건축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후원을 중심으로 단상의 식재·수경공간이 위치하고 있다.

1.조영실제
1)낙선재 일원의 역사적 변화
낙선재 일곽이 조영되기 전 이 일대는 성종 16년(1485) 저승전을 중심으로 창건된 창덕궁 동궁으로, 영·정조시대 동궁의 주요 전각들이 소실되자, 정조 6년(1782) 중회당을 중심으로 새로운 동궁지가 조영되었는데, 당시 낙선재와 석복헌이 영건될 지역은 동궁의 전각들이 소실 후, 영건 되지 않아 공지인 상태였으며, 동쪽으로 정조9년(1785) 수강궁의 옛터에 영건된 수강재가 있었다. 이에 후에 낙선재 등이 조영될 창덕궁 동궁지는 예전부터 양위한 상황과 대비의 소어처였던 덕수궁과 수강궁 터의 영역 내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왕세자의 처소 외에도 동조의 처소라는 특수한 기능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장소적 특성이 있는 낙선재 일원에 헌종은 왕세자의 생활공간이 아닌 연침과 빈과 동조의 처소를 조영하게 되며, 이에 낙선재일원은 왕세자와 관련이 없는 연조공간으로서의 장소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2. 입지성
1) 지형조건과 주변경관과의 관계
낙선재 일원은 창덕궁 내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내려오는 나지막한 동산으로 위요되며, 특히 평지와 동산사이의 경사지는 장대석을 정연하게 쌓아 후원의 화계를 조성하였으며, 이는 동산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뿐 아니라 후원의 구성요소들 즉, 수목, 석물, 화담 등이 위치한다. 동산 위에는 주거를 위한 거물들이 배치되어있는 평지와는 달리, 시계가 외부로 확장되는 공간으로 주변의 자연환경 즉 인왕산, 남산, 낙산까지 조망이 가능하도록, 루와 정자를 배치하여 전경 및 차경으로서의 후원 공간을 조영하였다. 이 곳에 조영된 건물들은 평지에 조영된 주거지와는 달리 건물수도 적을 뿐 아니라, 좌향과 평면 모양이 다양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3. 공간구성
1) 배치구성
낙선재 일원의 배치구성은 현재 대문으로 추정되는 이극문(장락문 앞의 외행랑 앞마당)을 지나, 솟을대문을 지나, 낙선재 일곽의 중심인 낙선재로 연결되는 진입공간과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 건물과 담장으로 둘러싸인 즉 마당이 중심이 되는 중정공간, 낙선재·석복헌·수강재 건물과 화계사이의 전이공간, 경사지형을 이용한 화계공간, 동산 위 루·정이 위치하고 있는 후원공간으로 분리·구성되는 배치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건물과 담장으로 둘러싸인 중정공간은 건물로 들어가기전에 마음의 준비를 하는 공간인 동시에, 주 건물내에서 외부인이 출입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공간특성을 가진다. 건물과 화계사이의 전이공간은 외부인의 동선을 구분함과 동시에 괴석, 석분, 세연지 등의 점경물로서 선경을 상징하기 위한 은유로서의 공간특성을 가진다. 화계공간에는 식생과 굴뚝, 괴석 등의 점경물은 경복궁의 교태전 후원인 아미산과 창덕궁의 대조전, 창덕궁 통명전의 후원 및 상류주택의 후원과도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동산 위의 후원공간에는 개방적이고 자연스러운 공간으로, 낙선재후원 일원과 주변경관을 조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다양한 길상문양이 표현된 담장, 굴뚝, 석물 등의 점경물을 도입하였다.
2) 진입방식
동궐도형을 분석한 결과, 낙선재후원 일원은 건물별로 담장이나, 행랑으로 구분되어 있어, 하나의 영역이지만 각 공간이 독립성을 가진다.

건조물(建造物)
낙선재 일원의 기단부는 모두 장대석을 사용한 다듬돌 바른층 쌓기로 되어있으며, 기단윗면은 평원루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돌로 마감하였따.

점경물
1) 석물
낙선재후원 일원의 석물은 7종으로 괴석(9개)을 비롯하여 세연지(1), 물확(1), 석상(1), 석대(1), 나무테(1), 노둣돌(1)이 있으며, 괴석의 경우 주로 낙선재건물과 화계사이의 전이공간과 후원공간내 한정당 전정에 위치하고 있으며 석분의 형태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의 형태를 띄고 있다. 특히 사각형의 석분은 상·하단으로 구성되어있는데 하단의 경우 산예(狻猊)와 수구(繡球)가, 상단의 경우 전면에는 새와 구름 수파문이, 배면에는 모란이, 동쪽에는 연꽃이, 서쪽에는 연밥과 연꽃이 양각되어 있다. 세연지의 경우 낙선재 후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형태는 장식없는 단순한 방형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세연지를 받치고 있는 화강암 소재의 4개의 원모양 다리에는 연전문양과 세연지 전면에 '금사연지'라고 새겨져 있다. 작은 돌절구라는 의미를 갖는 물확은 석복헌과 수강재를 연결하는 합문옆에 위치하며 방형의 자연석에 윗면과 다듬은 형태를 띈다. 노둣돌의 경우, ㄴ자형태의 것이 낙선재 앞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초헌에서 내린 헌종이 땅을 밟지않고 계단을 이용하여 낙선재 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2) 화계
경사지형을 처리하기 위해 조영한 후원 화계는 낙선재·석복헌·수강재와 5-9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화계의 구성은 장대석으로 낙선재·석복헌 영역의 경우 각5단, 석복헌 모서리부분은 3단 등의 형태로 해당지역의 지형에 맞게 축조한 것으로 화계 내에는 산철쭉, 앵두, 모란, 조팝등의 관목과 옥잠화, 비비추등의 지피류 등이 식재되었다.
3) 담장
낙선재후원 일원의 담장은 문양을 넣는 화담으로 귀갑문양과 포도, 매화, 당초문양이 있으며 특히 상량정과 상상와 일곽을 구분하는 화담인 경우 담장의 테두리는 괴자룡으로 장식하고 그안에 복(福0자와 희喜)자를 도형화하고 글자사이에 꽃을 형상화하였다.

결론
첫째, 낙선재후원 일원의 조영에는 창덕궁내 동궁지라는 장소적 성격이 1847년 헌종의 연침으로서 낙선재가, 1848년 왕세자의 빈인 경빈 김씨를 위한 석복헌과 순원왕후(1789-1857)의 육순을 위해 수강재의 중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낙선재후원 일원은 연조공간이라는 장소로 변화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낙선재후원 일원의 입지는 창덕궁 내 북동쪽의 동산과 남서쪽의 나지막한 동산으로 위요된 곳에 입지하였기 때문에 주변과 자연스러운 영역성을 가지며 주변경관과의 관계에서는 후원화계 상단부의 루·정의 통한 주변의 인왕산, 남산, 낙산 등의 자연환경을 낙선재 후원의 통합적 시계 내에 포함시켜 건물과 후원과의 연계된 경관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낙선재 일원의 공간구조는 낙선재 일곽의 중심인 낙선재로 연결되는 진입공간과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명확하게 구분되는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 건물과 담장으로 둘러싸인, 즉 마당이 구성되는 중정공간, 낙선재·석복헌·수강재 건물과 화계사이의 전이공간, 경사지형을 이용한 화계공간, 동산 위 루·정이 위치하고 있는 후원공간으로 분리·구성되는 배치상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낙선재 후원에서의 구성요소는 식물과 건조물, 점경물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식물의 경우 교목으로는 감나무, 선주목, 산돌배 등이, 관목으로는 산철쭉, 앵두, 모란 등이, 지피류에는 옥잠화, 비비추, 작약등이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건조물의 경우 주거기능을 담당하는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와 조망기능을 담당하는 평원루 등이 있으며, 점경물로는 괴석, 세연지, 물확, 석상, 석대, 나무테, 노둣돌 등의 석물과 화계, 담장, 굴뚝 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어휘상 화계에 있어서 '섬돌 계'는 오르내리는 돌층계를 의미한 것으로 계단상의 구조를 일컫으며 보석(步石), 석계, 석단, 석제(石梯) 등과 같이 돌층계의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화계란 계단의 형태로 몇개의 층을 이루는 화단을 이르는 것 으로 말할 수 있다. 화계의 정원용어에 관하여 윤국병씨는 고려시대 후기의 목은집에 화계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어서 그 시대에 이미 화계가 꾸며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특히 고려중기에 축조된 청평사 복희암지 후면의 축석을 예로 들어 조선시대의 화계와 동일시하고 있다. 또한 윤씨는 화계와 구조적으로 닮은 정원시설인 화오에 대하여 꽃을 심기 위해 마련한 둔덕으로서 화단과 같이 보아 화계와는 별도로 취급하고 있다.
화계에 대하여 돈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금 높지막한 평지를 의미하는 돈대로서는 화계 각단마다의 지반을 일컫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화계가 일반적으로 몇개의 층을 겹쳐서 형성되는 구조에 견주어 볼 때, 화계자체에 대한 그 의미가 적확하게 전달되는 용어라고 하기에는 미약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화계의 발생
한국은 전체적인 지형에 있어서 고저기복의 차가 적은 준평원의 소구릉지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약75%정도가 산지로 되어있다. 이러한 지형조건은 풍수지리사상으로 대표되는 사상적인 배경과 함께 결과적으로 자연지세를 중요시하여 배산득수의 양지를 주거지로 선정하였다. 즉 택지에서의 명당은 구릉남사면에 위치하여 산을 배경으로 하고 남쪽을 향하여 강을 바라보는 배산임수의 지세를 이상향으로 한 것이다. 이는 택지의 선정에 관하여 쾌적한 생활을 위한 극히 소박하고 실질적인 사고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풍수지리사상에 기저를 둔 택지입지가 한국주거·정원구성의 기본적 요인의 하나로 정착한 것은 한국독자의 지형 지세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취락의 대부분이 산지에 둘러싸여 남쪽으로 경사진 지형에 강을 바라보는 형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화계 또한 그 발생의 원점을 구릉지 남사면 원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풍수지리사상에 기인한 택지의 입지는 자연히 부지와 건축물배치의 관계에 유형적인 기준을 만들게 되어 한국의 주거와 정원구성의 기본적인 요인의 하나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후정의 사면을 계단상의 화계로 처리한 독자적인 공간의 처리기법은 한국적인 정원에 있어서 특히 후정의 특징을 대표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화계의 입면적 특징
1) 치조
화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지형의 형태와 택지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전옥(殿屋)의 격식에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다시말해서 격식이 높은 전옥에 대응하는 화계일수록 화계의 각단을 구성하는 장대석의 수를 많이 중첩하여 쌓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옥의 기단을 구성하는 장대석 단의 수에서도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또한 그 장대석 개개의 높이도 보다 높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2)연조
교태전은 자연지형의 경사면을 이용한 화계가 아니라 경회루의 연못을 파낸 흙으로 인공적으로 축조된 화계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태전 후정의 화계는 3단을 이루며 이곳에는 다양한 식생과 첨경물을 도입하여 경관을 구성하게 된다.
대조전 후정의 화계는 4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연구릉이 건축물지에 근접한 지형의 경사지를 화계로 처리한 것이다.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의 후정에서 보는 화계는 지형상 서고동저의 형태를 갖는 동일구릉의 사면을 화계로 처리한 예이다. 석복헌의 화계는 연와담으로 낙선재와의 공간을 구분하고 있지만 동일한 구릉을 화계로 처리한 경우이다. 특히 낙선재와 석복헌의 경우 화계의 높이에 있어서 동일 패턴을 유지하고 있으나 너비에 있어서는 낙선재의 화계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구릉의 서쪽에 비하여 표고가 낮은 동쪽의 수강재 후정의 화계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쪽의 화계와 거의 같은 수치의 높이와 너비를 유지하고 있다. 통명전 후정의 화계는 4단으로, 경춘전 후정의 화계는 3단으로 구릉처리하여 구성하였다.
3) 후원
후원에서 볼 수 있는 화계는 주합루, 선향재, 부용정등이 있는데 주합루는 구룡의 정상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건물의 전정과 후정에 각각 화계가 조성되어 있는 특이한 궁원의 공간구성을 보이고 있다. 후정의 화계는 5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계의 높이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수치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수평면의 너비를 강조한 안정적인 화계의 구조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넓은 너비의 평면적인 구성은 주합루 중층에서의 조망을 고려한 화계의 구조로 볼 수 있다.
주합루 전정의 화계는 4단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데 각 단마다에는 부용지 측에서 어수문을 거쳐 주합루에 오르는 주동선으로서의 계단이 축조되어 있다. 전정에 화계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풍수지리사상에 의거한 택지의 결과이지만 주합루는 전면에 펼쳐진 낮은 지형의 부용지공간으로 이어지는 경사지를 화계로서 처리한 예이다.
선향재의 후정에 조성된 화계는 4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농수정이 세워져 있다. 화계는 각 단의 높이에 있어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치수가 커지고 있어서 불안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부용정에서 보는 화계는 그 중에서 가장 작은 규모로서 정자의 후측 산록에 소규모로 구성되어있으며 현재 3단째에 괴석이 석함과 함께 높여져 있다. 화계의 구성은 2단으로 되어있다.
4)종묘
종묘는 제사공간으로서 단순명쾌한 공간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화계의 구성에 있어서도 배후의 지형이 그다지 높지 않은 지형상의 조건도 있겠지만 극도로 절제된 단순한 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정전(正殿)과 영녕전의 후정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화계의 경사에 대하여
넓고 평탄한 공간이 필요한 치조에서는 후면의 구릉지에 근접하여 육박하는 형태로 공간확보의 방법을 취했을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화계의 너비를 충분히 취할 수 없는 상황으로 화계의 구성에 있어서 높이의 입면이 평면에 비하여 강조된 구조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창덕궁의 통명전과 양화전의 화게는 높이와 너비가 공히 타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서 지형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기는 하지만 화게의 입면적인 요소가 후정경관에서 크게 강조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하겠다.

결론
화계는 한국전통정원의 후정을 중심으로 한 공간에서 나타나는 한국의 독자적인 정원양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화계가 몇개인가 단을 이루어 경사면을 극복하는 형태는 나름대로의 자연을 존중하며, 그 환경에 순응·조화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한국정원의 독특한 공간구성의 특징이기도 하다.
치조는 높이 및 너비에 있어서 전체평균치에 비하여 작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화계의 너비를 충분히 취할 수 없는 상황으로 화계의 구성에 있어서 높이의 입면이 평면에 비하여 강조된 구조를 갖는다.
연조는 높이와 너비가 각각 전체평균치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교태전의 화계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화계로서 평면적인 특징이 잘 나타나 온화한 분위기의 후정을 연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원의 화계의 높이는 전체평균치와 거의 같지만 너비에 있어서 평균치를 넘는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너비를 넓게 확보하므로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느낌의 화계가 조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종묘는 높이와 너비에 있어서 평균치에 못 미치지만 가장 완만한 구배를 이루어 안정감을 나타내는 구조를 보인다.
장대석에 의해서 축조된 화계의 각 단을 보면 각단의 너비는 단의 높이에 비하여 비교적 좁게 되어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렇게 구성된 화계는 극히 입면적인 것으로 나타나며 흡사 벽과 같은 인상을 주게된다. 이것에 대하여 각 단의 높이가 보다 더 낮게 억제되어 각각 단의 너비가 증가하는 화계에 있어서는 화계 전체가 보다 평면적으로 되어 벽과 같은 인상이 엷어지게 된다. 이곳에는 종종 화려한 식재가 행하여져 화계 전체가 화려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게 되는데 그것은 일견 화계가 일반의 정원에 있어서 화단에 비유되는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