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5.31 심곡서원 1

심곡서원

발자국찍기/서원 2010. 5. 31. 21:18 posted by 맑은눈동자
민가나 별서를 제외하고 궁궐이나 왕릉, 사찰 및 서원등은 조영시 일정한 특징과 형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성리학적 규범이 엄격히 적용된 서원은 전학후묘냐 전묘후학이냐 혹은 전당후재냐 전재후당이냐 하는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 기본적인 배치도는 모두 비슷하기에 집에서 가까운 용인의 심곡서원을 찾기로 결정.

심곡서원은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로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다가 기묘사화로 희생을 당한 정암 조광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창건과 동시에 심수경 등의 상소로 '심곡'이라는 사액을 받은 곳입니다.
용인은 조광조의 묘소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일찍부터 이곳에 조광조를 배향하기 위한 서원건립의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인근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를 제향한 충렬서원에 임시로 배향되었다가 묘소 아래로 서원이 건립되면서 위패를 옮기게 되었다고 하네요.

심곡서원(深谷書院)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상현리 203-12
-규모: 주요 7동
-주향자: 조광조(1482~1519)
-조성연대: 건립 및 사액 :효종 1년(1650)

대부분의 서원의 입지가 그렇듯이 심곡서원 역시 평지가 아닌 구릉지에 입지하여 지형적 위계성이 자연스럽게 나타납니다. 외삼문을 열어놓고 강당에 앉아 전면을 바라보면 아래쪽에 탁트인 들판이 보였을거라 상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10년에 살고 있는 우리는 단지 상상으로 그칠뿐 현실은 다릅니다. 오히려 이곳을 찾은 후 크게 세가지 이유로 실망을 하였는데 밑에 천천히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홍살문으로부터 외삼문앞에 이르러 사진을 찍었습니다. 솟을삼대문이 있으며 일요일이라서 그런지 오른쪽문의 반만 개방해 놓았습니다. 약1시간정도 여기저기 자세히 둘러보았는데 그동안 방문하는 사람은 5명남짓되었습니다.

동재와 서재.
홍광표선생의 한국의 전통조경에서는 『조선 후기에 강학적 기능보다 제향적 기능이 더욱 강조되면서 재실의 의미가 약화되었기 때문에 다른 서원과 달리 재실공간이 생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라고 설명되어있으나 실제 답사해보니 동재, 서재가 모두 존재하였습니다. 새로 복원되었다고 하는데 고증을 바탕으로 복원되었다면 홍광표선생이 틀린 것이고, 홍광표선생의 설명이 맞다면 잘못된 복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재의 동쪽으로 있는 저 나무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아시는 분 답 좀 부탁합니다.

외삼문을 들어서서 정면으로 보이는 일소당. 강당입니다.
심곡서원은 서원의 대부분의 형태인 전당후묘, 전재후당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사면이 벽체로 막혀있고 전후좌우로 판문을 둔 건물로 온돌방이 없이 온통 마루로 되어있어 다른 서원의 강당과는 다른 특이한 건축형식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나 궁금한 점은 예전 우리전통조경에서는 잔디가 능침말고는 쓰이지 않았는데 강학공간에 잔디는 어떤이유일까요?

일소당을 왼쪽으로 돌아 내삼문이 보입니다. 사당을 둘러싼 담장의 아랫부분은 장대석을 기초로 하여 과거의 이 서원이 제대로 격식을 갖추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담장 하단에 배수용 석루조는 서원에서 흔치 않은 점경물입니다.

심곡서원의 현판은 사액을 내려준 효종이 직접 쓴 글씨라고 합니다.

사당내부의 모습입니다. 일요일에 방문해서 개방을 하지 않은 건지, 아님 평상시에도 개방하지 않는지는 알 수 없지만 문이 잠겨있었습니다. 다행히 옆쪽에 담이 낮아 내부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일소당의 초석은 자연석인데에 비해 사당은 다듬돌로 초석을 두었습니다.

일소당의 자연석 초석

강당 뒤 남쪽에는 장서각을, 북쪽으로는 고직사를 두고 있습니다.

사당 뒷편의 모습입니다.  전통조경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경사지를 단으로 처리하였으나 제향공간이므로 알록달록 예쁘게 꾸미지는 않았습니다. 단위로 수령이 오래된 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서 있습니다. 그 주위로 풀들이 많이 자라났는데 좀 정리를 하는 것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담 하단에 우수의 배수로가 있습니다.
이러한 배수로를 통하여 우수는 결국 사원 남쪽의 방지로 흘러 들어옵니다.

전형적 방지원도가 있는데 자연석으로 쌓은 호안은 최근에 처리하였다 합니다. 끊임없이 계류가 유입되고 배수되지 않은 고요있는 방지이다 보니 깨끗한 느낌이 들지는 않더군요.

방지 동쪽으로 수령 500년 된 커다란 느티나무와 한 그루의 향나무가 있어 휴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적 요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제 처음으로 돌아가 심곡서원을 둘러보면서 느낀 실망감 세가지를 적어보겠습니다.

#1. 주차장과 서원의 입지성등 주위환경
관리상의 한계겠지만 홍살문과 외삼문 사이에 주차장이 조성되어 홍살문은 그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게다가 일요일이라 근처의 교회에 왔던 사람들의 주차로 인해 주차장은 매우 혼잡했습니다. 비워놓느니 지역주민의 편의를 위해 주차장을 개방하는 것은 좋은 취지이겠지만 홍살문을 넘으면서부터 서원에 진입했다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복잡한 것보다 고즈넉한 분위기가 좀 더 어울렸을겁니다.

문화재를 현대사회에서로부터 분리하여 문화재만을 즐길 수야 없는 노릇이겠지만 도시의 발전과 더불어 서원이 아파트숲에 둘러쌓여버렸습니다. 옛 선인들이 즐겼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은 판이하게 틀려져 버렸으며 어느 곳 하나 정심의 장은 없어보였습니다.

#2. 문화재 관리소홀.
전날 창덕궁 후원을 관람한 후 이곳에 답사를 했기에 비교가 되서인지 심곡서원의 외형은 서원이란 곳을 처음 방문했던 저에게는 초라함 그 자체였습니다.
원래 심곡서원이 여타의 유명한 서원에 비해 작은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가 말하고자 하는 건 규모의 크고작음 뿐만 아니라 현재 관리가 잘 되고 있느냐 아니냐는 점이지요.
여기저기 흉물스럽게 놓여져있는 집기류등이 눈에 띄였고 전체적으로 보수가 되지 않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3. 관리자의 관리소홀.
2번의 언급이 문화재청 제도하에서의 예산 및 관리상 문제라면 3번은 심곡서원내 관리자의 관리문제입니다. 위 사진은 사당뒷편 한 구석을 촬영한 것입니다.
 어이없게도 상추등의 채소를 키우고 있습니다. 거기 푯말에는 이런 문구가 적혀있더군요.
『농작물을 주인 허락없이 뜯어가는 일을 하지 마시요. 입장바꿔 생각해봐.』
이 푯말의 내용, 반말의 어투등으로 미루어보아 하루이틀 채소를 키운게 아닌거라는 느낌입니다. 그간 얼마나 방문객이나 주위 주민들이 무단채취해갔으면 저런 문구를 써놨겠습니까.
하지만 이곳은 사유지가 아니고 문화재 지역임을 다름아닌 문화재관리자가 망각하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서원은 성리학적 규범이 엄격히 적용된 곳입니다. 심곡서원은 특히 중종재위시 사림파의 거두 조광조를 주향한 곳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큰 곳입니다.
작은 곳에서나마 문화재를 아끼고 보존하여서 추후에 방문하는 사람에게나마 제가 느꼈던 불편한 점이 없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