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계란 한옥 안채의 후면에 자리 잡은 사면을 계단 형으로 다듬어 장대석을 직선으로 앉혀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해놓은 자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조에는 풍수도참설에 가리키는 바에 따라 양기, 즉 택지를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인즉 언덕을 등지고 남을 향하여 완경사를 이룬 자리를 가장 좋은 터로 삼고 있다. 또한 앞이 좁고 뒤가 넓어야 길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자리를 찾아 건물을 남쪽으로 당겨 지어 놓으면 건물 후면에 경사진 넓은 공간이 남게 된다.
여기에 흙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계단형으로 장대석을 쌓아올리게 되면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닿는 꽃나무를 가꿀만한 자리가 생겨난다.
그러므로 우리 조상들은 여기에 키작은 꽃나무를 심는 한편 운치를 돋우기 위하여 석함을 놓아 괴석을 앉혔으며 물을 곁들이기 위하여 꽃나무 밑에 돌을 쪼아 만든 작은 수조, 즉 세심석(洗心石)을 놓아 이름하여 화계(花階)라고 하였다.
경복궁의 침전이었던 교태전의 후정인 아미산을 비롯하여 창덕궁 대조전의 후정, 창덕궁 낙선재의 후정, 창경궁 통명전의 후정등이 그 예이다.
(중략)
일반적으로 경사지에 조성된 전통정원의 후원에는 장대석이나 자연석으로 석단을 축조하고 그 위에 초화류나 화목류 위주의 식재를 하여 화계를 조성하였다. 이 화계의 단에는 괴석 및 석분, 석지 등의 경물이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적인 경관 요소로서 화전굴뚝이 배치되기도 하였다.(1)
또한 전통정원에 도입되는 수직적 요소의 하나로서 화담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담벽에 여러 형태의 장식 문양(2)을 넣어 경관적 효과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궁궐정원에 많이 나타난다.
-------------------------------------------------------------------
문화재 수리기능사 시험을 볼때 면접관이 저에게 했던 수많은 질문중 하나였습니다.
대답한 내용의 큰 맥은 위 논문의 내용과 비슷하나 역시 조금은 부족하게 답변했었습니다. 기술사시험을 공부하고 첫날부터 나오는 내용이네요. 덕분에 내용을 수월하게 머릿속에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복궁 아미산과 창덕궁 대조전 후정, 창덕궁 낙선재 후정, 창경궁 통명전에 가서 곧 실제 찍은 사진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1) 아미산의 육각굴뚝이 대표적인 예.
(2) 십장생, 사군자의 문양을 많이 사용.
조선조에는 풍수도참설에 가리키는 바에 따라 양기, 즉 택지를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인즉 언덕을 등지고 남을 향하여 완경사를 이룬 자리를 가장 좋은 터로 삼고 있다. 또한 앞이 좁고 뒤가 넓어야 길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자리를 찾아 건물을 남쪽으로 당겨 지어 놓으면 건물 후면에 경사진 넓은 공간이 남게 된다.
여기에 흙의 유출을 막기 위하여 계단형으로 장대석을 쌓아올리게 되면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닿는 꽃나무를 가꿀만한 자리가 생겨난다.
그러므로 우리 조상들은 여기에 키작은 꽃나무를 심는 한편 운치를 돋우기 위하여 석함을 놓아 괴석을 앉혔으며 물을 곁들이기 위하여 꽃나무 밑에 돌을 쪼아 만든 작은 수조, 즉 세심석(洗心石)을 놓아 이름하여 화계(花階)라고 하였다.
경복궁의 침전이었던 교태전의 후정인 아미산을 비롯하여 창덕궁 대조전의 후정, 창덕궁 낙선재의 후정, 창경궁 통명전의 후정등이 그 예이다.
(중략)
일반적으로 경사지에 조성된 전통정원의 후원에는 장대석이나 자연석으로 석단을 축조하고 그 위에 초화류나 화목류 위주의 식재를 하여 화계를 조성하였다. 이 화계의 단에는 괴석 및 석분, 석지 등의 경물이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적인 경관 요소로서 화전굴뚝이 배치되기도 하였다.(1)
또한 전통정원에 도입되는 수직적 요소의 하나로서 화담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담벽에 여러 형태의 장식 문양(2)을 넣어 경관적 효과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궁궐정원에 많이 나타난다.
-------------------------------------------------------------------
문화재 수리기능사 시험을 볼때 면접관이 저에게 했던 수많은 질문중 하나였습니다.
화계가 뭔지 아십니까?
대답한 내용의 큰 맥은 위 논문의 내용과 비슷하나 역시 조금은 부족하게 답변했었습니다. 기술사시험을 공부하고 첫날부터 나오는 내용이네요. 덕분에 내용을 수월하게 머릿속에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복궁 아미산과 창덕궁 대조전 후정, 창덕궁 낙선재 후정, 창경궁 통명전에 가서 곧 실제 찍은 사진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1) 아미산의 육각굴뚝이 대표적인 예.
(2) 십장생, 사군자의 문양을 많이 사용.